본문 바로가기
게임·취미/작혼 : 리치 마작

또이쯔(머리)의 종류, 조패와 3헤드 이론

by 히나냥 2024. 10. 17.

 

'타쯔'란? 

멘쯔(몸통)이 되지 못한 2개의 패를 말한다. 

양면 타쯔란 2종류의 패가 들어오면 멘쯔가 되는 타쯔를 말한다.

우형 타쯔란 변짱 타쯔, 간짱 타쯔처럼 1종류의 패가 들어오면 멘쯔가 되는 타쯔를 말한다.

 

'또이쯔(머리)'란?

같은 패 2개를 말한다.

 

타쯔 + 또이쯔가 합쳐진 형태를 '복합 타쯔' 라고 한다.

1) 1만, 1만, 2만의 경우 : 변짱 또이쯔

(또이쯔가 1개라면 복합 타쯔 x   

1만, 1만 또이쯔 / 2만 고립패로 본다.)

2) 1만, 3만, 3만의 경우 : 간짱 또이쯔

3) 3만, 3만, 4만의 경우 : 양면 또이쯔

 

또이쯔의 경우 아래 순서대로 가치가 높다.

1. 3~7의 또이쯔의 경우 : 양면 타쯔로 변할 수 있는 패가 2종류 있다. 

2. 2, 8의 또이쯔의 경우 : 양면 타쯔로 변할 수 있는 패가 1종류 있다.

3. 1, 9, 타패의 또이쯔의 경우 : 양면 타쯔로 변할 수 있는 패가 없다.

 

머리를 선택하려면 어떠한 원칙을 세워야 할까?

1. 머리가 2세트 있을 때

양면 타쯔의 경우 멘쯔(몸통)으로 쓰기 좋은 가치 높은 형태이기 때문에 

우형 타쯔를 머리로 고정하여 쓰고 양면 타쯔를 몸통 후보로 쓰는 것이 좋다.

예시 1)

1만, 1만, 3만 (우형타쯔) / 5만, 5만, 6만 (양면 타쯔) 가 있을 경우

3만을 버려 1만, 1만을 머리로 고정하고 5만, 5만, 6만을 몸통 후보로 쓴다.

 

2. 머리가 3세트 있을 때

1] 기본적으로 머리 3세트 -> 머리 2세트로 형태를 바꾸는 것을 우선시 한다.

2]  1만, 1만, 2만 (변짱 또이쯔) / 6통, 6통 (독립 또이쯔) / 8삭, 9삭, 9삭 (간짱 또이쯔)가 있다고 하자.

이 경우 2만을 버려 머리 3개를 유지하다가 5통이나 7통이 들어오면 6통 하나를 버려 머리 2세트로 변경한다.

 

3헤드 이론이란?

몸통이 완성 되었을 때 인접한 패가 잉여패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머리 3세트 인접패 2장 or 머리 2세트 인접패 1장인 형태에서 머리를 잘라야 한다는 이론.

수학적으로 유효패가 더 많아진다.

 

 

참고한 글 : https://blog.naver.com/ghdfus9/221638674338

https://youtu.be/3Q5o0yV8mV8?si=dvkJJCoB8AZoyL7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