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취미/작혼 : 리치 마작

마작 수비이론 (안전패, 스지, 벽) 설명과 예시

by 히나냥 2024. 8. 21.



상대가 '리치'를 선언했을 때, 론을 당하면 뼈아픈 점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위험성을 감수할 정도로 크게 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수비가 현명한 방법이다.

0. 일발에 주의하라.
위험성을 감수하여 수비하지 말고 싸워야겠다는 판단을 하였다면
일발을 주의하는 것이 좋다.


1. 리치를 건 사람의 모든 버림패는 안전패이다.


리치 마작에서는 자신이 버린 패가 대기에 포함된다면 론을 할수 없다.(후리텐)
따라서, 리치를 건 사람의 리치를 걸기 이전, 이후의 모든 버림패는 안전패에 해당한다.


2. 리치가 선언된 이후의 다른 사람들의 모든 버림패는 안전패이다.

리치 마작에서는 골라쏘기가 반칙이기 때문에
론을 스킵할 경우, 그 패로는 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리치가 선언된 이후 버려진 다른 사람들의 모든 패는 론을 당하지 않은 것이 되므로 안전패이다.

3. 2개 이상 버려진 자패는 비교적 안전하다.

2개가 버려진 경우 단기대기, 국사무쌍(역만)을 제외하고 안전하다.
3개가 버려진 경우 국사무쌍(역만)을 제외하고 안전하다



4. 스지이론 : 리치를 건 사람의 버림패 중 수패의 ±3은 비교적 안전하다.

하나의 수패를 기준으로 3칸씩 떨어져있는 수패를 '스지'라고 한다.
(ex. 6삭인 경우 스지는 3삭, 9삭)

예시 1]
리치를 건 사람이 6삭을 버렸고,  스지인 3삭을 버린다 해보자.

출현 빈도가 높은 대기 순으로 나열해보자면,

(ㄱ). 4삭 5삭을 들고 3삭, 6삭 대기를 한다. (양면 대기)
-> 6삭이 이미 버려졌으므로 후리텐에 의하여 3삭은 안전하다.

(ㄴ). 2삭 4삭을 들고 3삭 대기를 한다. (간짱 대기)
(ㄷ). 3삭 3삭을 들고 3삭 대기를 한다. (샤보 대기)
(ㄹ). 3삭을 들고 3삭 대기를 한다. (단기 대기)

(ㄴ), (ㄷ), (ㄹ)은 쏘일 가능성이 있지만
(ㄱ)와 같은 양면 대기를 방어하여 방총률을 낮추기를 기대할 수 있다.



5. 벽 이론 : 4장의 패가 모두 보일 때, 사용할 수 없는 특정 패가 생기고 이는 비교적 안전하다.

예시 2]
3만이 게임 내에서 버림패 등으로 4장이 보이게 되어 벽이 되었다고 해보자.

1,2,3 만 / 2,3,4 만 / 3,4,5 만
3개의 슌쯔는 나올 수 없게 된다.

1, 2만은 커쯔로밖에 쓸 수 없게 되므로 벽뒷패인 1, 2만은 비교적 안전하다.
이때 벽뒷패인 1, 2만은 4 -> 1스지 / 6 -> 9스지 보다 다소 위험하다.

예시 2-1]
3만이 벽이고, 상대의 버림패에 7만이 있다고 해보자.
이때 4만은 비교적 안전하다.

7만의 스지인 4만은 양면 대기나 간짱 대기에 사용 될 수 없다.

(ㄱ). 5만 6만을 들고 4만 7만 대기를 한다. (양면 대기)
-> 7만이 이미 버려졌으므로 후리텐에 의하여 4만은 안전하다.

(ㄴ). 3만 5만을 들고 4만 대기를 한다. (간짱 대기)
-> 3만이 벽이기 때문에 있을 수 없다.

(ㄷ). 4만 4만을 들고 4만 대기를 한다. (샤보 대기)
(ㄹ). 4만을 들고 4만 대기를 한다. (단기 대기)

(ㄷ), (ㄹ)는 쏘일 수 있지만 비교적 안전하며,
4만은 4 -> 1스지 / 6 -> 9스지 <1, 9 오모테스지> 와 동일한 안전도를 가진다.

예시 2-2]
3만이 벽이고, 상대의 버림패에 8만이 있다고 해보자.
이때 5만은 비교적 안전하다.

(ㄱ). 3만 4만을 들고 2만 5만 대기를 한다. (양면 대기)
-> 2만이 버림패에 있든 없든 3만이 벽이기 때문에 성립 불가능

5만은 1, 7 -> 4스지 / 2, 8 -> 5스지 / 3, 9 -> 6스지 <4, 5, 6 나카스지> 와
동일한 안전도를 가진다.


6. 다양한 스지 형태

(1). 4 -> 1스지 / 6 -> 9스지 <1, 9 오모테스지>

예시 3]
4통이 버려졌다고 해보자.

(ㄱ). 2통 3통 들고 1통, 4통 대기를 한다. (양면 대기)
-> 4통이 버려졌으므로 후리텐에 의하여 1통은 안전하다.

(ㄴ). 1통을 대기패로 삼는 간짱 대기는 없다.
(ㄷ). 1통 1통을 들고 1통 대기를 한다. (샤보 대기)
(ㄹ). 1통을 들고 1통 대기를 한다. (단기 대기)

쏘일 가능성은 샤보 대기와 단기 대기밖에 없으며 이는 스지 중 가장 안전하다.
자패나 벽뒷패보다도 안전하다.

(2). 1, 7 -> 4스지 / 2, 8 -> 5스지 / 3, 9 -> 6스지 <4, 5, 6 나카스지>

예시 4]
1통, 7통이 버려졌다고 해보자.

(ㄱ). 2통 3통을 들고 1통, 4통 대기를 한다.
/ 5통 6통을 들고 4통, 7통 대기를 한다. (양면 대기)
-> 1통, 7통이 버려져있기에 후리텐에 의하여 둘 모두 불가능 하며 4통은 안전하다.

(ㄴ). 3통 5통을 들고 4통 대기를 한다. (간짱 대기)
(ㄷ). 4통 4통을 들고 4통 대기를 한다. (샤보 대기)
(ㄹ). 4통을 들고 4통 대기를 한다. (단기 대기)

(ㄴ), (ㄷ), (ㄹ)은 쏘일 가능성이 있지만
(ㄱ)와 같은 양면 대기를 방어하여 방총률을 낮추기를 기대할 수 있다.

(3). 5 -> 2, 8스지 <2, 8 오모테스지>

예시 5]
5통이 버려졌다고 해보자.

(ㄱ). 3통 4통을 들고 2통, 5통 대기를 한다.
/ 6통 7통을 들고 5통, 8통 대기를 한다. (양면 대기)
-> 5통이 버려져 있기에 후리텐에 의하여 둘 모두 불가능 하며 2통, 8통은 안전하다.

(ㄴ). 1통 3통을 들고 2통 대기를 한다.
/ 7통 9통을 들고 8통 대기를 한다. (간짱 대기)
-> 2통 8통으로 쏘일 수 있다.

(ㄷ).
1통 3통 5통을 들고 2통, 4통 대기를 한다. (양간짱 대기)
5통 7통 9통을 들고 6통, 8통 대기를 한다. (양간짱 대기)

-> 이후 패가 들어와 리치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5통의 버림패로 2통, 8통이 위험함을 유추할 수 있다.


(4). 6 -> 3스지 / 4 -> 7스지  <3, 7 오모테스지>

예시 5]
6삭이 버려졌다고 해보자.

(ㄱ). 4삭 5삭을 들고 3삭, 6삭 대기를 한다. (양면 대기)
-> 6삭이 버려졌기에 후리텐에 의하여 안전하다.

(ㄴ). 1삭 2삭을 들고 3삭 대기를 한다. (변짱 대기)
(ㄷ). 2삭 4삭들 들고 3삭 대기를 한다. (간짱 대기)
(ㄹ). 3삭 3삭을 들고 3삭 대기를 한다. (샤보 대기)
(ㅁ). 3삭을 들고 3삭 대기를 한다. (단기 대기)

(ㄴ), (ㄷ), (ㄹ), (ㅁ)은 쏘일 가능성이 있지만
(ㄱ)와 같은 양면 대기를 방어하여 방총률을 낮추기를 기대할 수 있다.


(5). 7 -> 4스지 (1무스지) / 1 -> 4스지 (7무스지) <카타스지>

참고한 글 : https://skypine.tistory.com/m/415
https://m.dcinside.com/board/mahjong1bunga/2864
https://blog.naver.com/raivex/220028492193
https://m.dcinside.com/board/majak/334407

'게임·취미 > 작혼 : 리치 마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작의 공수판단  (0) 2024.10.17
5블록 이론 + 또이또이 역을 노릴 때 판단  (1) 2024.10.17
마작 용어 '대기'에 관한 설명  (0) 2024.07.11
마작 '역'  (0) 2024.05.09
화료와 후로 용어 설명  (0) 2024.05.08